전체 글(18)
-
Git - 커밋 히스토리 조회하기
gitpro book을 참고한 내용. Commit history 조회하기 새로 저장소를 만들어서 몇번 커밋했을 수도 있고, Commit history가 있는 저장소를 clone 했을 수도 있다. 어쨌든 가끔 저장소의 history가 보고싶다면? git log. 이 예제에서는 "simplegit" 이라는 단순한 프로젝트를 사용. $ git clone https://github.com/schacon/simplegit-progit 이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git log를 실행하자. $ git log commit ca82a6dff817ec66f44342007202690a93763949 Author: Scott Chacon Date: Mon Mar 17 21:52:11 2008 -0700 changed the v..
2020.03.01 -
Git의 기초 - 수정하고 저장소에 저장
수정하고 저장소에 저장 만질 수 있는 git 저장소 생성 후, working directory에 checkout도 했다. 여기서는 파일을 수정하고 파일의 스냅샷을 commit 해본다. working directory의 모든 파일은 track(관리대상) 과 Untracked(아직관리하지않음) 으로 나뉜다. 여기서 다시 tracked file은 Unmodified(수정하지 않음) 과 modified(수정함) 그리고 staged(commit으로 저장소에 기록할) 상태 중 하나이다. 말하자면 git이 파악(track)하고 있는 파일이란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파일은 모두 Untracked 파일이 되겠다. Untracked file은 working directory file 중, 스냅샷에도, staging are..
2020.03.01 -
git 최초 설정
gitpro ebook을 참고한 내용. Git 최초 설정 Git을 설치하고 나면, Git의 사용환경을 설정해야한다. 한번 설정하면 git을 upgrade해도 유지. git config라는 도구로 설정내용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설정 파일은 세가지나 되고, git은 이 설정에 따라 동작한다. /etc/gitconfig 파일: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와 모든 저장소에 적용. git config --system 옵션으로 이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이 파일은 시스템 전체 설정 파일이기 때문에 수정하려면 시스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 ~/.gitconfig, ~/.config/git/config 파일 : 특정사용자(즉, 현재 사용자)에게만 적용되는 설정. 많이 쓰는 git config ..
2020.03.01 -
git 기초
Git base knowledge Git의 핵심은? Git이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Git이 정보를 취급하는 방식 1. Snapshot 기존의 VCS 시스템 대부분은 관리하는 정보가 파일들의 목록이다. 각 파일의 변화를 시간순으로 관리하면서, 파일들의 집합을 관리한다. Git은 이런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지도 취급하지도 않는다. Git은 데이터를 File System SnapShot의 연속으로 취급하고 **크기가 작다**. Git은 commit하거나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할 때마다 *파일이 존재하는 그 순간* 을 중요하게 여긴다. 파일이 달라지지 않으면 성능을 위해 파일을 새로 저장하지 않는다. 즉, Git은 데이터를 Snapshot의 stream처럼 취급한다. 2. 거의 모든 명령을 local에서 ..
2020.03.01 -
정적 타입 검사(Static Typing)로 더 나은 Python 코드 작성
PyCon Korea 2019에서 발표된 blurfx 님의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다. 파이썬을 싫어하는 사람은 파이썬을 왜 싫어하는 걸까? 파이썬은 대표적인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언어다. 동적 타입 언어란 무엇이고, 정적 타입 언어란 무엇일까? 둘은 실행방식에 차이가 있다. 정적 타입 언어의 실행방식은 다음과 같다. Writing Code Build Test Run/Deploy 다음으로, 동적 타입 언어의 실행방식은 다음과 같다. Writing Code Test Run/Deploy Bold로 표현된 부분이 오류를 발견하게 되는 구간이다. 말하자면, Test, Run/Deploy시에 오류를 발견하는 것보단 초반에 발견하는게 좋다는 말인데 구체적으로 왜 그런건지 살펴보자. 정적 타입 검사..
2020.02.29 -
AWS에서 GPU Instance 사용하기
시작하기 전, 이 글은 나름의 이해에서 나오는 개념들을 본인이 보기 편하게 작성하는 것이지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음을 미리 명시합니다. AWS? AWS(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닷컴에서 개발한 클라우딩 컴퓨팅 서비스이다.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가상컴퓨터와 가상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즈니스와 개발자가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확장 가능하고 정교한 애플리케이션 구축하도록 지원하여 준다. 소규모 법인(회사) 및 개인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 많은 거대기업들도 활용하고 있다. Cloud Computing 인터넷을 통해 IT Resource와 application을 On-Demand로 제공하는 서..
2020.02.29